• 강의 활동을 생성하는 방법

    이 문서에서는 Build(생성) 페이지로 이동하여 적절한 활동을 추가한 후 강의 활동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다음 유형의 활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모든 유형에 사용 가능한 필드

    • Action Label(작업 라벨): 이 라벨에 수강생에게 표시하고자 하는 동사와 Course Map(강의 지도)의 활동 이름을 입력합니다. 모든 유형에는 기본값(예: Video(동영상) 활동 작업 라벨의 경우 “watch(시청)”)이 있지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작업 라벨

    • Name(이름): Course Map(강의 지도)에 표시되어 수강생이 보게 되는 활동의 이름입니다. 

    활동 이름

    • Description(설명): Description(설명) 섹션에 활동의 주요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는 텍스트, 하나 이상의 이미지 및 링크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동 설명

    Description(설명) 섹션에는 수강생을 위한 강의 경험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서식 지정 도구가 있습니다.

    • 여러 제목 스타일

    텍스트 스타일

    • 굵게

    굵게 아이콘

    • 기울임꼴

    기울임꼴 아이콘

    • 밑줄

    밑줄 아이콘

    • 취소선

    취소선 아이콘

    • 맞춤

    취소선 아이콘

    • 번호 매기기 및 글머리 기호

    번호 매기기 및 글머리 기호 아이콘

    • 들여쓰기 및 내어쓰기

    들여쓰기 및 내어쓰기 아이콘

    • 하이퍼링크(팁: Target to New Window(새 창으로 대상 지정)를 설정하면 해당 링크를 클릭한 수강생은 새 창에서 새 페이지를 보게 되므로 강의로 돌아가려는 경우에 헛갈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링크 삽입 아이콘

    링크 삽입 모달

    •        이미지 추가

    이미지 삽입 아이콘

    이미지 삽입 모달

    • 가로선을 추가하여 활동 내 콘텐츠의 구획을 강조합니다

    가로선

    • Source Code(소스 코드) 버튼을 사용하여 HTML 추가 또는 편집 

    소스 코드 아이콘

    • 이 옵션을 사용하여 고급 HTML을 작성 또는 복사 후 붙여넣거나, iframe을 임베드하거나 고급 서식 지정을 수행합니다.  

    Description(설명) 섹션에 활동 콘텐츠를 입력한 후 페이지 하단의 Save(저장)를 반드시 클릭합니다. 팁: 페이지 상단의 View Course(강의 보기)를 클릭하고, 코호트를 오른쪽 클릭하고, Open Link in New Tab(새 탭에서 링크 열기)을 클릭하여 만들고 있는 활동을 수강생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Prerequisite(필요 조건): 현재 활동에 대한 필요 조건으로 활동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정한 경우 현재 활동은 선택한 필요 조건 활동을 수강생이 완료하기 전까지 잠금 상태가 됩니다.

    필요 조건

    • Duration(기간): 활동의 예상 기간을 초 단위로 입력합니다. 

    활동 기간

    • Optional(선택 사항): 활동이 선택 사항인지 선택합니다. 참고: 선택 사항인 활동은 완료율과 같은 분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선택 사항 활동 확인란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비공개 및 공개 분류 그룹 결과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는 강의를 생성할 때 비공개 분류 그룹 결과 및 공개 분류 그룹 결과 활동을 둘 다 만드는 독특한 측면에 대해 설명합니다.

    Breakout Group Results(분류 그룹 결과) 활동이란 무엇인가요?

    Breakout Group Results(분류 그룹 결과) 활동은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와 관계없이 분류 그룹이 조정자에게 결과물을 제출하여 검토를 받도록 하는 활동입니다. 사례 연구처럼 분류 그룹이 모여 결과물을 완성한 후 조정자에게 분류 그룹 단위로 제출하는 지침이 주어진 연습의 경우 이러한 활동 유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참고: 이러한 활동 유형을 강의에 추가하려면 코호트 제각각에 대한 분류 그룹을 생성해야 합니다. 분류 그룹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그룹이 아닌 수강생 개인이 결과물을 제출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Dropbox 활동 혹은 토론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분류 그룹은 결과물은 어떻게 제출하나요?

    분류 그룹이 결과물을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공개 분류 그룹 결과 vs. 비공개 분류 그룹 결과

    • 공개: 그룹의 결과물은 모든 코호트 구성원이 볼 수 있습니다.
    • 비공개: 조정자 및 그 외 관리자만 각 그룹의 결과물을 볼 수 있습니다.

    수강생이 다른 그룹의 결과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활동의 목적이라면 공개 옵션이 가장 적합합니다. 반면, 그룹이 결과물을 제출하여 조정자 및/또는 다른 관리자가 검토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비공개 옵션이 가장 적합합니다.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Dropbox(드롭박스)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Dropbox(드롭박스)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Dropbox(드롭박스) 활동이란 무엇인가요?

    Dropbox(드롭박스) 활동은 수강생이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결과물을 제출할 수 있는 활동입니다. 사례 연구와 같이 수강생에게 개별적으로 결과물을 완성하여 조정자에게 제출하도록 지시하는 연습이 있는 경우 Dropbox(드롭박스) 활동이 가장 좋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결과물은 다른 코호트 구성원이 아닌 조정자와 다른 관리자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수강생이 각 수강생의 제출물을 보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경우에만 Dropbox(드롭박스) 활동을 구축해야 합니다. 다른 수강생이 서로의 제출물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경우, 수강생에게 결과물을 토론 게시물에 첨부하도록 지시하는 프롬프트가 설정된 Discussion(토론) 활동이 가장 적합합니다.

    분류 그룹이 조정자에게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Breakout Group Results(분류 그룹 결과) 활동을 대신 사용해야 합니다. Dropbox(드롭박스) 활동은 개별 수강생의 제출물에만 해당됩니다.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Profile(프로필)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Profile(프로필)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Profile(프로필) 활동이란 무엇인가요?

    Profile(프로필) 활동은 Profile(프로필) 페이지를 강의에 활동으로 포함합니다. 수강생은 Profile(프로필) 페이지로 이동하여 프로필을 설정하는 대신 강의의 일부로 프로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프로필) 활동은 강의의 첫 번째 활동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의에 Profile(프로필) 활동을 포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Profile(프로필) 활동은 수강생이 동료 코호트 구성원을 알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 활동에서 수강생이 공유하는 정보는 Course(강의) 홈페이지의 Your Cohort(내 코호트) 섹션에서 다른 코호트 구성원이 볼 수 있습니다.

    내 코호트

    또한 강의에 Profile(프로필) 활동을 포함하면 수강생이 플랫폼에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수강생은 프로필을 작성하고, 활동을 완료로 표시하고, 다른 수강생의 프로필 정보를 볼 수 있으므로 수강생에게 플랫폼뿐만 아니라 동료 코호트 구성원도 소개할 수 있습니다.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다양한 날짜 및 시간에 개최되는 라이브 이벤트 활동을 강의 디자인에 구축해야 하는 이유

    강의를 구축할 때는 각 코호트에 대해 개최되는 날짜 및 시간과 상관없이 구축 과정에 강의 경험의 일부가 될 라이브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강의 구축 페이지에서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활동을 생성할 때 강의의 특정 시점에 열릴 이벤트의 자리 표시자를 지정하게 됩니다. 이는 수강생의 기대치를 설정하고 관리자의 실행 계획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강의와 코호트에 대한 라이브 이벤트 설정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활동을 생성하는 방법

    1.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활동 Build(빌드) 페이지의 하단에 있는 Event Type(이벤트 유형)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라이브 이벤트 유형

    2. 모든 코호트에 사용할 이벤트 유형을 선택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벤트의 유형(예: Zoom, Teams 등)인 Interactive Webinar(대화형 웨비나)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라이브 이벤트 유형 옵션

    3. 페이지 하단에 있는 Create(생성)를 클릭합니다.

    4. 각 이벤트의 날짜와 시간이 코호트에 따라 다르므로 코호트 설정 중에 라이브 이벤트의 세부 정보(예: 이벤트 참여 링크)를 추가합니다. 코호트에 대한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활동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코호트 설정의 일부로 코호트에 대한 라이브 이벤트가 설정될 때까지 강의 활동을 보는 수강생은 활동에서 “Date and time have not been established for this event(이 이벤트에 대한 날짜 및 시간이 설정되지 않았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보게 됩니다.

    Live Event(라이브 이벤트) 활동을 만들 때 팁과 모범 사례

    • 설명 텍스트를 추가할 때 라이브 이벤트의 템플릿을 만들고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각 이벤트는 각 코호트에 대해 구성되므로 관리자는 각 코호트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활동의 텍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이때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합니다. 
    • 수강생이 이벤트에서 기대해야 할 사항(예: 어젠다), 이벤트 전에 완료해야 할 사항, 이벤트 중에 해야 할 사항(예: 사례 연구)을 안내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각 라이브 이벤트를 미리 준비해야 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강의를 수강하는 모든 코호트에 대한 템플릿으로 사용 가능한 슬라이드 데크 및/또는 자료를 만들고 필요에 따라 각 코호트에 맞게 사용자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Reflection(성찰)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Reflection(성찰)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Reflection(성찰) 활동이란 무엇인가요?

    성찰은 수강생만 볼 수 있는 개인적인 글입니다. 수강생이 작성한 내용은 Reflection(성찰) 활동 자체에서 볼 수 있으며 모든 성찰은 Backpack(백팩)에 저장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Reflection(성찰) 활동은 수강생에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 진도 또는 생각의 변화를 되새겨 보도록 요청할 때 적합합니다.

    Reflection(성찰) 활동을 만들 때의 팁

    • 중요한 읽을거리 또는 동영상 바로 앞이나 뒤에 성찰을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강생이 자신의 생각을 순서대로 이해하여 보다 의도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거나 방금 소비한 콘텐츠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수강생이 서로의 게시물을 읽고 회신하는 Discussion(토론) 활동으로 제공하는 것이 더 나은 활동인 경우에는 프롬프트를 만들지 마세요. 대신, 수강생이 되새겨보는 시간을 갖고 스스로를 위한 메시지를 작성함으로써 가치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드세요.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Video(동영상)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Video(동영상)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동영상 정렬

    Video(동영상) 활동에 동영상을 추가할 때 해당 동영상을 Description(설명) 섹션 텍스트 위 또는 Description(설명) 섹션 텍스트 아래에 위치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동영상은 텍스트 아래에 배치됩니다.

    분류 그룹 토론 확인란

    한 활동에 동영상을 2개 이상 추가할 수 있나요?

    현재로서는 Video(동영상) 섹션을 통해 활동당 하나의 동영상만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escription(설명) 섹션에서 Source Code(소스 코드) 버튼을 사용해 iframe으로 동영상을 임베드할 수도 있습니다. iframe을 통해 개체를 임베드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Video(동영상) 활동을 만들 때의 모범 사례

    • 수강생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대 5분, 가급적이면 3~4분으로 동영상 길이를 제한합니다.
    • Description(설명) 섹션에 동영상의 간단한 소개를 작성하여 수강생이 동영상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파악하여 시청을 유도하도록 합니다.
    • 동영상의 대본이나 해당 동영상의 이미지 또는 차트를 포함하는 첨부 파일을 추가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이미지와 차트가 화면에 짧게 표시되었다가 사라져 수강생이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첨부 파일을 따로 추가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동영상 촬영 시 모범 사례를 활용합니다.

    파일 첨부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Document(문서)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Document(문서)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Document(문서) 활동이란 무엇인가요?

    Document(문서) 활동은 하나 이상의 파일을 활동에 첨부하려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작업은 동영상과 함께 파일을 선택적으로 첨부할 수 있는 Video(동영상) 활동과는 별개입니다. 

    Document(문서) 활동의 일반적인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설명 섹션에 그래픽을 포함하되, 수강생이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그래픽을 첨부 파일로 첨부합니다. 이는 읽기 힘든 작은 글꼴의 차트 및 이미지에 특히 유용합니다.
    • 수강생이 파일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의 Description(설명) 섹션에 첨부된 파일을 소개하고 설명합니다.
    • 첨부된 파일을 Description(설명) 섹션의 참조로 사용합니다.

    Document(문서) 활동의 일반적인 파일 형식

    • 읽을거리
    • 사례 연구
    • 차트
    • 템플릿
    • PowerPoint
    • 인포그래픽
    • 참조 문서

    파일을 두 개 이상 업로드할 수 있나요?

    예, 하나의 활동에 여러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활동에 포함된 파일 수를 보는 수강생의 입장도 고려해야 합니다. 학습 측면에서 볼 때, 활동에 다운로드할 파일 수가 많은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대신 파일을 하나로 결합하거나 활동을 여러 활동으로 분할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Discussion(토론)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강의를 구축할 때 Discussion(토론) 활동을 생성하는 고유한 측면을 살펴보고 Discussion(토론)에서 귀중한 수강생 경험을 생성하기 위한 팁을 제공합니다.

    분류 그룹 토론

    Breakout Group(분류 그룹) 확인란이 선택되어 있으면 수강생은 전체 코호트가 아닌 분류 그룹의 구성원과만 토론을 하게 됩니다. 분류 그룹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이 확인란을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 두면 전체 코호트가 토론에 참여하게 됩니다.

    분류 그룹 토론 확인란

    토론 프롬프트 작성 시 모범 사례

    • 콘텐츠나 콘텐츠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대화를 유도하는 질문을 합니다.
    • 수강생에게 자신이 개발한 작업을 게시한 후 다른 사람이 토론 포럼에서 해당 작업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하도록 요청합니다.
    • 수강생에게 그룹 또는 개별 활동을 수행한 후 주요 결과를 게시하도록 요청합니다.
    • 수강생에게 이전에 읽었거나 고려했던 내용에 대한 생각과 피드백을 공유하도록 요청합니다.
    • 수강생에게 학습한 내용을 평소 직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도록 요청합니다.

    Discussion(토론) 활동을 만들 때의 팁

    1. 각 수업 및 모듈에서 토론하는 횟수를 제한하세요. 토론은 신중하게 게시하고 다른 사람에게 답글을 보내는 데 걸리는 시간과 토론에서 받는 이메일 알림 수로 인해 수강생이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토론 활동에는 파일을 첨부할 수 없습니다. 단, 토론에 게시하는 수강생과 관리자는 활동을 첨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론과 관련된 파일을 첨부하려면 토론에 글을 게시하고 게시물을 토론 맨 위에 고정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3. 이 활동 유형에서 토론 프롬프트 위에 있는 텍스트는 간결하게 유지하여 수강생이 질문이나 프롬프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세요.

    4. 특히 토론에 대한 주제 분석을 수행할 계획인 경우에는 프롬프트에 한 개의 질문만 포함하세요. 주제 분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고객 성공 담당자에게 문의하세요.

    문서 읽기
  • 활동 유형: Activity(활동) - Leadership Academy

    이 문서에서는 Activity(활동) 활동 생성의 고유한 측면에 대해 살펴봅니다.

    Activity(활동)란 무엇인가요?

    본질적으로 Activity(활동) 활동은 플랫폼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모든 활동 유형에 포함된 필드만 포함됩니다. Activity(활동) 활동을 생성할 때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토론을 생성하거나, 다른 활동 유형과 연관된 어떠한 것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이 활동 유형은 언제 사용하나요?

    이 활동 유형은 주로 활동 콘텐츠에 활동 및/또는 링크에 내장된 텍스트, 이미지 외에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다시 말해서 파일을 첨부하거나, 동영상을 추가하거나, 토론을 생성하거나, 수강생에게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요청하거나, 다른 활동 유형과 관련된 기타 모든 활동을 요청하지 않고 수강생이 활동의 콘텐츠를 읽게만 하려는 경우 Activity(활동) 활동을 선택해야 합니다. 

    문서 읽기